유엔 무역개발회의(UNCTAD)는 13일(현지시간) 지속되는 관세 불확실성이 특히 중소·중견기업과 개발도상국의 투자 둔화를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.
레베카 그린스판 UNCTAD 사무총장은 제네바 사무실에서 로이터와 한 인터뷰에서 "투자 측면에서 더 많은 지연(lagging numbers)이 발생할 것을 우려한다"고 말했다.
그린스판 사무총장은 AI(인공지능) 관련 분야가 올해 무역·투자를 견인했지만, 혜택이 소수의 국가 및 기업에 편중돼 있고 저개발국·소규모 국가들은 그 혜택에서 배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.
특히 아프리카의 최빈국과 소형 섬나라들은 관세 충격에 대한 회복력이 약하다고 덧붙였다.
Reuters
UNCTAD는 올해 7월 발간한 보고서에서 2024년에 이어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(FDI)가 2년 연속 하락했다고 밝힌 바 있다.
그린스판 사무총장은 내년 전망에 대해 "현재의 무역 긴장(관세 인상·보복 등)이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이어지느냐, 혹은 협상 속에서 고관세가 장기화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"이라고 진단했다.
그러면서 "미국의 최근 관세 결정들이 금융시장을 흔들고 전 세계 경제에 불확실성을 던졌다"고 지적했다.
그린스판 사무총장은 라오스의 경우 관세율이 40%에 달하는 등 최빈국들이 선진국보다 높은 관세 부담을 지고 있고, 레소토 같은 특정 소국은 미 관세 위협 이후 관세율을 15%로 조정받기도 했다고 언급하며, 미국에 대해 취약국에 대한 관세 완화 조치를 촉구했다.
UNCTAD는 또한 해운·물류 업계가 지정학적 긴장과 관세 정책 변화로 큰 변동성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.
최근 보고서에서는 무역정책의 불확실성과 지역 분쟁으로 항로 변경·운임 상승 등의 충격이 발생해 해상무역 성장률 전망이 둔화되고 있다고 밝혔다.
전문가들은 관세 불확실성이 장기화하면 기업의 설비투자 및 해외진출 결정이 지연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.
특히 수출·투자에 의존도가 높은 중소국과 국내 중소기업은 글로벌 수요·가격 충격에 취약해 경기 회복의 동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.
한편 WTO 등 다른 국제기구들도 내년(2026년) 글로벌 교역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는 등 불확실성 확대를 주시하고 있다.